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월급 실수령액표: 내 월급, 실제로 얼마나 받을까?

by 알만한정보 2025. 2. 2.
반응형

2025년의 월급 실수령액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가계 재정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의 공제 항목을 고려하여 실제로 손에 쥐는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 2025년 월급 실수령액표

아래 표는 2025년 기준으로 월급별 예상 실수령액과 주요 공제 항목을 정리한 것입니다. 부양가족 1명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개인별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월급(세전) 실수령액(원) 공제액 합계(원) 국민연금(원) 건강보험(원) 장기요양보험(원) 고용보험(원) 소득세(원) 지방소득세(원)
1,000,000 923,500 76,500 45,000 28,080 2,070 5,850 0 0
1,500,000 1,372,040 127,960 63,000 43,680 3,220 9,100 8,150 810
2,000,000 1,817,310 182,690 85,500 59,280 4,370 12,350 19,270 1,920
2,500,000 2,248,340 251,660 108,000 74,880 5,520 15,600 43,330 4,330
3,000,000 2,656,670 343,330 130,500 90,480 6,670 18,850 88,030 8,800
3,500,000 3,045,970 454,030 153,000 106,080 7,820 22,100 150,030 15,000
4,000,000 3,425,500 574,500 175,500 121,680 8,970 25,350 220,910 22,090
4,500,000 3,805,860 694,140 198,000 137,280 10,130 28,600 291,030 29,100
5,000,000 4,183,470 816,530 220,500 152,880 11,280 31,850 363,660 36,360

출처: 근로 계산기


📝 주요 공제 항목 설명

  1. 국민연금: 월 소득의 4.5%를 근로자가 부담합니다.
  2. 건강보험: 월 소득의 3.545%를 근로자가 부담하며, 건강보험료의 12.81%가 장기요양보험료로 추가 부과됩니다.
  3. 고용보험: 월 소득의 0.9%를 근로자가 부담합니다.
  4.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과세표준에 따라 차등 부과되며, 소득세의 10%가 지방소득세로 추가 부과됩니다.

💡 실수령액 계산 시 유의사항

  • 개인별 차이: 부양가족 수, 추가 소득, 세액공제 항목 등에 따라 실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세법 변경: 세율 및 공제율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확한 계산: 정확한 실수령액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근로 계산기와 같은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거나, 회사의 급여 담당자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월급 실수령액을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재무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